클래식 본고장에 퍼지는 우리의 소리, 2023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유럽투어

⦁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독일, 체코 투어 나선다.

⦁ 클래식 뿐만 아니라 ‘사랑가’ 와 북 등 한국의 소리 알린다.

클래식 본고장에 퍼지는 우리의 소리, 2023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유럽투어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독일 비스바덴 공연 포스터. 출처: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가 클래식 음악의 본고장인 독일과 체코 무대에 오릅니다. K클래식과 한국의 소리를 알릴 레퍼토리로 10월 1일(일) 독일 비스바덴 쿠어하우스, 10월 4일(수) 독일 베를린 필하모니홀, 10월 6일(금) 체코 프라하 스메타나홀을 찾습니다.

이번 공연은 한·독 수교 140주년을 기념하고 체코와 한국 간 문화 교류를 견고히 하고자 기획됐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K클래식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국립심포니가 두 나라와 한국을 잇는 문화적 가교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국립심포니는 ‘한국·독일·체코’ 세 나라에 뿌리를 둔 음악을 연결고리 삼아 프로그램을 구성했습니다. 독일을 대표하는 베토벤의 교향곡 2번과 브람스의 ‘대학축전 서곡’을 연주하고, 체코 태생 작곡가 스메타나의 ‘나의 조국’ 중 ‘블타바’ 등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이번 무대를 위해 유럽과 한국을 대표하는 음악가들이 대거 포진했습니다. 한국인 최초로 오스트리아 주립극장의 수석 카펠마이스터(수석 상임지휘자)로 활동한 바 있는 지휘자 홍석원(광주시향 상임지휘자)을 필두로 스타 소리꾼 고영열, 고수 고석진이 출연하게 됩니다. 여기에 한국 고유의 가락과 클래식 음악을 접목해 국악의 새로운 면모를 알려온 작곡가 우효원의 작품까지 선보이며 문화사절단으로의 역할이 기대됩니다.

◇ 유럽에 울려퍼지는 춘향가와 북소리

이번 공연에서 가장 특별한 부분은 오케스트라와 판소리의 만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리꾼 고영열이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판소리 ‘춘향가’ 중 ‘사랑가’로 한국의 정서를 알리고, 서양 관현악과 국악의 전통 리듬을 녹인 우효원의 ‘북(Drum)’으로 흥을 돋굽니다. 베를린 필하모니 홀의 공연 소개고영열의 Pansori, Chunhyangga: Love Song, 우효원의 Buhk (Drum) 이라는 소개가 올라간간 것은 한국 음악에 관한 세계의 관심이 더욱 늘어났다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체코 공연에서는 작곡가 우효원이 한국 음악에 대한 해설을 맡아 국악에 대한 이해를 돕습니다.

◇ 국립 심포니 오케스트라

1985년 국내 최초 민간 교향악단인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로 출발한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Korean National Symphony Orchestra)는 관현악은 물론 오페라·발레까지 아우르는 극장 오케스트라로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했습니다. 연 100회 연주로 국민의 문화향유 확대를 위해 힘쓰고 있으며, K 클래식을 이끌 연주자·작곡가·지휘자를 위한 교육 사업으로 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작년 이맘때에도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는 스웨덴, 헝가리, 오스트리아 등 유럽 투어를 펼친 바가 있습니다. 작년 투어에서도 가야금, 한국 가곡 등 한국의 소리를 알리려고 노력한 만큼 이번 투어 또한 우리의 소리를 어떻게 알릴지 기대가 됩니다.